이튼(EATON)은 지능형 전력관리기업으로서 데이터센터(DC), 유틸리티, 산업, 상업, 기계설비, 주거, 항공우주, 제작, 모빌리티 등 영역에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1911년 미국 뉴욕에서 자동차관련 부품제조업으로 출발한 이튼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100주년을 맞이한 지금까지 글로벌 유망기업들을 수차례 인수하며 성장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70개국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8만5,000명의 임직원이 지난해 기준으로 총매출 31조원을 달성했다.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본사는 중국 상하이에 위치해 있으며 8,000명 이상 임직원이 4개 합작기업을 포함한 18개 제조공장과 38개 영업사무소, 9개 R&D센터를 운영한다. 특히 이튼 전기사업부(Eaton Electrical)는 지능형 전력관리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리더로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영역은 △배전 및 회로보호 △전력품질 △백업전력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제어 및 자동화 △생명안전 및 보안 △구조솔루션 △위험환경솔루션 등이다. 이와 관련해 △회로차단기 △스위치기어 △버스웨이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배전장치 △모터제어장치 △계량기 △센서 △계전기 △PLC △HMI 및 인버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2020년 국내 건설사 최초로 데이터센터(DC)사업 전담팀을 만들어 차별화된 기술기반 DC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업, 설계, 조달, 시공뿐만 아니라 DC운영분야까지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DC팀은 다양한 특화기술을 보유해 건설비, 운영비 절감과 운영안정성을 제고하며 여러 전문업체와 파트너십을 통해 DC사업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기업 데이터빈과 함께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을 개발해 주목받은 바 있다. 강호석 삼성물산 건설부문 데이터센터팀 프로를 만나 개발배경 및 향후 사업방향성에 대해 들었다. ■ DC관련 주요 사업내용은기존에는 시공단계 입찰을 통해 사업에 참여하는 방식이 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파트너로서 사업가치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다. 프리콘서비스(Pre-construction Service) 형태로 사업초기부터 참여해 삼성물산이 보유한 특화기술을 초기 설계에 반영하고 공사비나 공사기간 검토뿐만 아니라 운영비절감 등 고객사의 사업성을 제고한다. 또한 액침냉각과 같은 차세대 DC 핵심기술을 지속발굴해 DC사업에 직접 활용하며 더 나아가 별도 신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는 데이터센터(DC)분야의 산·학·연·정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산업 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인력양성, 컨설팅 등 고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22년 창립됐다. 대정부 정책활동은 물론 국내‧외 DC시장조사 및 산업동향 분석 등을 통해 산업계 역량강화와 시장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최근 KDCEA는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을 주제로 올해 첫 이슈페이퍼(Issue Paper)를 발간해 배포했다. 송준화 KDCEA 사무국장을 만나 액침냉각시스템 기술‧산업동향에 대해 들었다. ■ 액침냉각이 미래트렌드로 부각되는데클라우드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딥러닝(DL) 및 머신러닝(ML)과 같은 IT기술이 발전했으며 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IT발전을 넘어 인터넷 연결만 되면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AI 도구인 ChatGPT와 같은 생성형AI가 등장해 기술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IT서비스를 위한 컴퓨팅파워를 제공 하고 데이터저장을 위한 DC수요도 함께 증가했다. 이는 DC 집적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랙(Rack) 대비 고집적 랙은 더욱
개원 3주년을 맞이한 의정부 을지대학교병원(병원장 이승훈, 이하 을지병원)이 고효율 기계설비시스템을 운영해오며 서울지역 종합병원 평균 에너지사용량에 비해 50% 이상 에너지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받고 있다. 을지병원을 운영하는 을지재단은 1956년 11월 박영하 박사가 서울시 중구 을지로3가에 개설한 산부인과의원이 시초이며 ‘인간사랑, 생명존중’을 이념으로 삼아 의료향상, 교육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교육‧의료재단이다. 이후 1981년 대전 을지병원 개원, 1983년 학교법인 을지학원 설립, 1995년 노원 을지병원 개원, 2009년 강남 을지병원 개원에 이어 2021년 4월 의정부 을지병원 개원 및 캠퍼스 개교에 이르렀다. 경기 의정부시 동일로에 위치한 의정부 을지병원은 대지 12만4,399㎡ 부지에 연면적 21만676㎡로 건축됐으며 총 902병상 규모로 구축돼 현재 599병상이 운영 중이다. 시설은 병원, 대학교, 기숙사, 관사, 운동장 등으로 구성되며 2024년 4월 기준 직원 1,500명이 근무하고 있다. 병원동의 경우 총 15층 규모로 39개 외래진료과와 10개 전문진료센터를 갖춘 종합병원으로 운영 중이다. 902개 병상은 △일반 △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서버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데이터센터(DC)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미래 쿨링시스템으로 여겨지던 액침냉각은 디지털전환(DX)과 AI가 촉발한 급격한 데이터생산량에 해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칸kharn과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는 이번 공동기획을 통해 현재 액침냉각산업 동향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시장을 전망해본다. AI붐, DC 고밀화 가속컴퓨터가 등장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빠르게 진행되던 디지털전환은 해마다 데이터생산량을 급증시켰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 각국의 DC도 용량규모를 키워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맞딱뜨린 AI붐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데이터폭증을 가져왔다. 하이페리온 리서치(Hyperion Research)에 따르면 AI,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가 매년 약 30%씩 증가하고 있으며 독일 IT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18년 33ZB였던 글로벌 데이터생성량은 2021년 79ZB로 큰폭으로 증가해 2024년 147ZB, 2025년 약 181ZB에 달해 연평균성장율(CAGR)이 26%
창공은 2004년 설립된 클린룸 전문기업으로 건축‧설계‧시공‧엔지니어링 및 인테리어 등 클린룸과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수술실, 음압‧격리병실 등 병원시설에 대한 전문성을 갖췄으며 의정부 을지대병원을 비롯해 서울‧천안 순천향병원, 일산 차병원, 대구 동산의료원 등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실적을 확보하고 있다. 의정부 을지대병원 클린룸 설계‧시공‧엔지니어링을 담당한 유진홍 창공 이사를 만나 음압시스템 현황과 주안점에 대해 들었다. ■ 클린룸 설계‧시공‧운영 시 고려사항은클린룸은 오염제어가 수행되는 한정된 공간이다.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뿐만 아니라 청정도, 온도, 습도, 기류, 실내공기압 등 전반적인 환경조건이 제어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클린룸의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축, 기계설비, 전기 및 자동제어, 시설 및 유지관리 등 부문에서 원칙을 지켜야 한다. 건축적으로는 미립자의 침입‧발생‧실내축적을 막아야 하며 실내 미립자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도록 인접실에 대해 정압을 유지해야 한다. 기계설비 측면에서도 공조조닝으로 공기흐름을 조절함으로써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하며 적정 온‧습도 및 높은 청정도를 유지토록 충분한 환기량을 확
데이터빈은 국내 최초로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는 기업으로 국내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실환경 성공사례를 가진 기업이다. 2016년 소프트웨어솔루션 개발을 시작으로 현재 소프트웨어 중심의 액침냉각 국산화솔루션을 고객에게 제안하고 있다. 급격하게 성장하는 데이터센터(DC)시장을 위한 ESG경영 및 에너지절감 솔루션제안으로 DC시장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는 김수용 데이터빈 대표를 만나 개발배경 및 실환경에서의 운용사례에 대해 들었다. ■ 액침냉각 특장점은최근 DC는 ‘전기먹는 하마’라는 오명처럼 막대한 전기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특히 전체 사용에너지 중 약 40% 해당하는 서버냉각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친환경적이며 탄소중립에 기여하기 위한 솔루션으로서 액침냉각에 주목하고 개발에 나섰다. 데이터빈 액침냉각 ‘스마트박스(Smartbox)는 PUE 1.1 이하급 DC를 구현한다. 통상적으로 건축되는 DC PUE가 1.4인 것에 비해 에너지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PUE 개선효과는 냉각에너지를 약 80% 절감하는 정도의 양이다. PUE뿐만 아니라 CUE(탄소배출지수), WUE(물사용지수)
대한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회장 강성희)가 주최한 ‘제9회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이 7월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FKI타워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기계설비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를 높이고 정치권의 관심을 촉구하는 한편 업계에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돼온 인력양성에 학계와의 협력을 제고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올해로 9번째를 맞이한 기계설비의 날 행사는 국토교통부,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후원했으며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회장 조인호),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회장 강성희),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최준영), 한국설비기술협회(회장 박종찬), 대한설비설계협회(회장 이수연) 등 5개 단체와 6개 유관단체가 함께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외부인사로 △진현환 국토부 제1차관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이인선 국민의힘 국회의원(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 △성일종 국민의힘 국회의원(국방위원회 위원장) △권영진 국민의힘 국회의원(국토교통위원회 간사)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법제사법위원회)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외교통일위원회) △김희정 국민의힘 국회의원(국토교통위원회)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농
데이터센터(DC) 전체 밸류체인에서 리퀴드쿨링(Liquid Cooling: 액체냉각)을 대비하거나 이미 도입하고 있다. IT서버 제조기업 델 테크놀로지스는 NVIDIA의 차세대 고성능 GPU 블랙웰(Blackwell) 출시를 대비해 리퀴드쿨링을 도입한 설계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MSP(Manage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관리서비스)기업들 역시 리퀴드쿨링을 핵심 경쟁력으로 갖추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가 7월2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2024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에는 약 900명이 참석해 DC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행사에는 기조강연으로 △델 테크놀로지스의 AI전략과 DC효율화(조용노 델 테크놀로지스 전무) △공유형 AI플랫폼을 통한 DC혁신전략(한지운 메가존클라우드 부사장) △AI혁신 가속화도구 클라우드(김기완 AWS Korea 술루션구축리더) △미래 AI환경을 위한 데이터레이크하우스(나성은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리더) 등이 진행됐다. 강중협 KDCC 회장은 개회사에서 “디지털시대, 클라우드시대의 근간인 DC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아직도 통신사업자나 IT업계가 운영하는 하나의 시설로
인공지능(AI) 활용사례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지만 선구적인 데이터센터(DC)를 위한 전문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핵심 디지털인프라 및 연속성 솔루션 전문 기업인 버티브(Vertiv)는 이러한 지식의 간극과 정보 접근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버티브 AI허브(Vertiv AI Hub)를 오픈(링크)한다고 발표했다. 파트너, 고객 및 기타 웹사이트 방문자는 전문가 정보, 레퍼런스 디자인 및 기타 리소스에 액세스해 자사의 AI 지원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버티브 AI허브는 백서, 연구 보고서, 도구, 업그레이드 및 신규개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력 및 냉각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새로운 레퍼런스 디자인 라이브러리는 랙당 10~140kW의 기 출시 및 향후 출시될 칩 세트를 지원하는 확장가능한 액체냉각 및 전력인프라를 제시한다. AI 기술스택과 지원인프라의 빠르고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한 버티브 AI허브는 버티브 파트너를 위한 AI 인프라인증 프로그램을 비롯해 새로운 콘텐츠들로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역동적인 사이트다. 지오다노 알베르타치(Giordano Albertazzi) 버티브 CEO는 “버티브는 DC업계에 혁신적인 기술과 인사이트를 공유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대표 김경록)가 지난 7월1일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원하는 ‘꿈의 날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올해로 24년째 진행하고 있는 슈나이더 꿈의 날개 프로젝트는 전기·전자·정보통신 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 및 산업현장 견학을 지원하는 인재육성 활동이다. 올해 장학금 전달식에는 김경록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대표와 이종욱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운데이션 팀장을 비롯해 각 학교 학생 11명과 한빛종합사회복지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김경록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대표가 직접 장학금을 전달하는 수여식을 시작으로 슈나이더 본사를 둘러보며 기업소개가 이어졌으며 이후 슈나이더 직원들과 함께하는 멘토링 겸 점심식사 자리가 마련됐다. 슈나이더가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자 설립한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운데이션은 2001년부터 한빛종합복지관과 협력해 이공계 고교생 장학금 지원, 자선 바자회, 봉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ESG 환경 교육의 일환으로 그룹사인 아비바코리아(AVEVA Korea)와 함께 흥인초등학교 7명 학생을 대상으로 물절약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매년 11월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대표 김경록)이 미국 주간지 타임(Time)과 데이터기업 스태티스타(Statista)가 발표한 ‘2024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선도기업(World's Most Sustainable Companies)’ 1위로 선정됐다. 올해 최초로 발표한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선도기업'에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00개 이상 글로벌기업이 외부 지속가능성 등급 및 공약과 기업보고 관행,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 총 20개 이상의 요소를 고려해 지속가능성을 평가받았으며 전 세계 상위 500개 기업이 순위에 올랐다. 타임지와 스태티스타는 슈나이더가 자사 노하우를 통해 산업 전반에서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킨 점을 높이 평가했다. 슈나이더는 전문적인 기술 및 솔루션과 함께 자체적으로 지속가능성 영향(SSI: Schneider Sustainability Impact) 프로그램을 진행해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을 인정받았다. 슈나이더의 SSI 프로그램은 UN 지속가능개발목표(UNSDGs)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슈나이더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이에 대한 진척상황을 매 분기마다 전용 보고서로 발표하고 있다. 슈나이더는 이
세계적인 수준의 국산 액침냉각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국책R&D가 개시됐다. 이번 연구과제는 고효율 액침냉각을 위한 상용화 수준의 제품개발은 물론 데이터센터(DC) 폐열회수 및 재사용을 위한 시스템개발까지 포함돼 결과가 주목된다. 삼화에이스 컨소시엄은 최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이 지원하는 ‘2024년 에너지 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 과제인 ‘액침냉각을 이용한 데이터센터 열관리 초고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증’ 국책과제 킥오프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R&D는 액침냉각 고효율화기술 및 미활용에너지 능동활용기술을 개발하며 이를 접목한 DC실증사이트 구축을 포함한다. 연구기간은 2028년 3월까지 48개월간이며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약 180억원으로 1차연도에 40억여원이 투입된다. 임승빈 에기평 수요관리실장은 “이번 과제는 대단히 높은 경쟁률을 보여 DC 액침냉각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이번 삼화에이스 컨소시엄에 참여한 연구진은 그만큼 우수한 자원이 포진됐다는 의미이므로 R&D에 매진해 좋은 결과를 도출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윤빈 에기평 효율향상PD는 “DC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이지만 DC는 앞으로 증가할 수밖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후보를 물색해 온 결과를 발표했다. LH는 지난 6월20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에서 특별세션을 열고 공기열원 히트펌프, 수소연료전지 등의 적용가능성, 제한사항 및 극복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공유했다. 공기열HP, 공동주택 가성비 양호이상준 LH 주택기술처 차장은 ‘공기열시스템 공동주택 적용연구’ 발표에서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공기열원을 재생에너지원으로 채택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은 정책지원을 통해 설치된 약 2,000만대의 히트펌프가 연간 5,400만톤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고 있는 가운데 공기 대 물 히트펌프 비중이 상당히 높다”라며 “미국은 2020년 공기열원 히트펌프 판매량이 가스보일러 판매량을 추월했으며 중국은 2021년 약 100만개의 공기열원 히트펌프가 설치돼 지금까지 총 1,200만대가 설치됐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공기열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해 공기열원 히트펌프를 통한 냉난방에너지 효율화를 이루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열과 수열원만 히트펌프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고 있다. 최근 공기열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대표 김경록)이 글로벌 경영전략 컨설팅기업 캡제미니(Capgemini)와 협력을 통해 에너지효율 최적화를 위한 에너지 커맨드센터(Energy Command Center)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분석에 따르면 에너지는 최근 몇 년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4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관리기술 디지털화를 통해 생성되는 친환경 전기는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캡제미니가 개발하고 슈나이더가 지원하는 에너지 커맨드센터 솔루션은 기업이 보다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시설관리와 에너지효율성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디지털 솔루션과 최첨단기술의 고유한 엔드투엔드(End-to-End) 조합을 통해 에너지관리를 단순화하고 소비를 최적화한다. 슈나이더는 선도적인 커넥티드 제품(Connected Product), 엣지 제어(Edge Control) 및 컨설팅 애플리케이션(Advisory Applications)을 통해 기업이 공장, 사무실 또는 기타 인프라 등에서 에너지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하나의 통합플랫폼에서 운영 전반에 걸쳐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 캡
이튼코리아가 7월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4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에 참가해 최근 출시한 3상 UPS제품을 선보인다. 이튼은 지속가능한 전력관리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안정적이며 유지관리가 쉬운 전원보호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93T UPS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가능한 콤팩트한 솔루션으로 가용성이 높은 제품이다. 또한 폭넓은 DC전압대를 활용할 수 있으며 10~80kVA 배터리 내장타입의 경우 최소 5분 이상의 백업타임(Backup time)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9395XR은 기존 9395 UPS의 차세데 모델로 현존하는 UPS 중 가장 콤팩트하다는 특징이 있다. 1,500kW UPS까지 출시됐으며 향후 최대 2,500kW UPS도 출시될 예쩡이다. 제품은 125kW 파워모듈(Power Module)로 구성되며 온라인모드(Online Mode)에서 97%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