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중앙공조의 대표 제품인 터보냉동기의 냉매를 HFC R134(고압냉매)에서 HFO R1233zd(저압냉매)로 전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GWP가 1이면서 ASHRAE 안전성등급 A1등급(인화성 없고 독성 낮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매는 R1233zd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2021년부터 개발을 진행 중이며 단계적으로 용량 및 라인업을 확장 중이다. VRF 제품의 경우 R32냉매로 전환하고 있다. 유럽시장의 경우 R32로 전환됐으며 북미지역의 경우 2024년, 국내의 경우 2025년 등 지역별로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LG전자는 3월13일부터 17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ISH 전시회에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에 불과한 차세대 친환경냉매 R290을 적용한 실내외기 일체형 히트펌프 신제품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Therma V R290 Monobloc)’을 공개해 주목받았다. LG전자는 2018년 가정용보일러를 손쉽게 대체할 수 있는 일체형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인 써마브이 모노블럭 제품에 세계 최초로 R32 냉매를 적용해 환경친화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처럼 신제품에 선제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댄포스는 단기적, 중장기적 관점에서 환경, 안전, 냉매 특성 등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안냉매를 선정해 이에 대응하는 최적의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개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댄포스는 이미 CO₂냉매용 다양한 컨트롤 제품과 R454B, R454C, R455A, R32, Ultra low HFO인 R1234ze, R290적용 제품도 함께 개발, 출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R454C, R455A와 같은 Low GWP 냉매용 압축기를 출시했으며 R290용 스크롤압축기도 곧 출시를 앞두고 있다. 댄포스의 CO₂특화 제어기 및 밸브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CO₂ 및 Low GWP냉매 압축기분야 세계적 선도기업인 BOCK사를 인수함으로써 친환경 냉동냉장 토탈 솔루션 제공자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게 됐다. 댄포스는 제품 솔루션뿐만 아니라 Coolselector2 소프트웨어에 최적의 CO₂ 부품 선정을 위한 특별기능을 추가했으며 해당기능을 통해 부품 선정의 logic과 이유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냉매트렌드 변화에 따른 댄포스의 솔루션이 가능한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객사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으로 고객들의 피드백
LG전자(www.lge.co.kr)는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을 비롯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맞춤형 냉난방 솔루션을 앞세워 유럽공조시장 공략했다. LG전자는 ISH에서 총 489㎡ 규모 부스를 마련하고 가정용부터 상업용까지 다양한 고효율 냉난방 공조솔루션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다양한 고효율 HP 전시 LG전자가 이번 ISH에 출품한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써마브이(Therma V)’는 외부 공기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냉난방에 사용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AWHP: Air to Water Heat Pump) 방식으로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했다. 유럽 ErP(Energy-related Products) 에너지등급 중 가장 높은 A+++를 만족한다. 유럽에서는 공기열원을 신재생에너지로 간주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또한 높은 출력, 낮은 소음 구현 등 차원이 다른 기술력과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바탕으로 지난해 유럽시장 매출이 2021년대비 120% 이상 증가했을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히트펌프 설치율이 가장 높은 프랑스를 포함한 LG전자가 공조사업을 하고 있는 유럽국가들 중 2/3 이상에서 지난해 히트펌프
삼성이엔지는 충남 아산에 위치한 삼성전자 B2B전문점으로 냉난방기 도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전국 영업망 및 설치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 서비스 및 유지보수 지정점으로 더 좋은 가격 및 우수한 서비스를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신재생에너지사업에 진출하며 PV·BIPV·GSHP·GHP, 연료전지, ESS 등 도매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김승국 삼성이엔지 본부장은 RE100, ESG경영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요기업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전환의 국제적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ISH를 참관했다. 김승국 본부장을 만나봤다. ■ ISH 참관한 소감은 지구온난화 방지 및 탄소저감, 친환경 냉매에 대한 치열한 경쟁의 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효율적인 장비 제조를 위해 연구하고 자재를 고급화하는 등의 결과물들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혼을 볼 수 있었다. ■ 주의 깊게 본 제품(기술)은수많은 관계자들의 방문 및 오가는 질문들 속에서 그 분들의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내년과 내후년에는 또 어떤 변화를 볼 수 있을까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는 자리였다. 기능보다는 디자인에 더 중점을 두고 관찰했는데 히트펌프의 외관뿐만 아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규모 냉난방공조전시회 ‘ISH 2023(International trade fair for Sanitation, Heating and air)’에 처음으로 참가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조솔루션으로 유럽 공조시장을 적극 공략했다. ISH 2023은 격년으로 개최되는 냉난방공조시스템 전시회로, 삼성전자는 약 489㎡(약 150평) 규모의 전시장을 마련해 ‘EHS Mono R290’와 ‘EHS Mono HT Quiet’ 등 고효율 냉난방시스템인 히트펌프 ‘EHS(Eco Heating System)’ 신제품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R290 EHS 첫 선 EHS 제품은 기존 보일러를 대체하는 공조시스템으로 냉난방은 물론 온수공급까지 가능하다. 보일러대비 이산화탄소를 적게 발생시켜 유럽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다. 이번에 처음 공개한 EHS Mono R290은 삼성 EHS 제품 중 처음으로 자연냉매인 R290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R290 자연냉매는 오존층파괴지수(ODP)가 0,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으로 기존 R32냉매대비 훨씬 환경친화적이다. R32냉매는 오존층 파괴지수가 0이지만 지구온난화지수가 675다.(IPCC 4th, 20
온실가스 저감은 전 세계적인 공통 목표다.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의 지속적인 온도 상승은 인간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도 상승을 +2℃ 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실천되고 있다. 2022년 10월 HFC 감축이행을 위한 ‘오존층 보호를 위한 특정물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 법률(오존층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2024년부터 키갈리개정의정서에 따라 지구온난화물질인 HFC류에 대한 국내 소비량 감축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HCFC, HFC 총사용량이 4만3,052톤이며 이를 CO₂환산톤으로 보면 8,320만톤에 해당한다. CO₂환산톤 기준 △R410a(24%) △R22(24%) △R23(12%) △R134a(8%) △R142b(7%) △R404a(6%) 등 6대물질이 전체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적용처별로 대체현황을 살펴보면 자동차·가정용에어컨, 소용량 히트펌프 등은 Low GWP냉매로 전환이 양호하지만 대용량 시스템에어컨, XPS단열재, 냉동·냉장 등 콜드체인부문은 준비되지 않았거나 오히려 규제를 역행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이나 수출에 집중하고 있는
센추리는 GWP가 낮은 냉매를 통해 탄소발생량을 감소시키고자 터보냉동기 제품에 대해 R134a를 R1233zd 냉매로 전환해 개발을 완료했다. 센추리는 친환경 냉매인 R1233zd를 적용한 터보냉동기를 국책 과제로 진행해 개발을 완료했으며 개발품을 2019년 HARFKO 전시회에 국내 최초로 출품해 주목받은 바 있다. 냉매 R1233zd는 지구온난화지수 GWP(Global Warming Potential)가 1로서 현재 주로 터보냉동기에 사용되고 있는 냉매인 R134a의 GWP 1,300보다 낮은 값으로 더욱 친환경적 신냉매다. 친환경 냉매인 R1233zd는 환경친화적인 HFO 신냉매로 ASHRAE 안전등급 A1이자 무독성, 비인화성 냉매다. R123대비 냉방능력 약41% 향상 및 저압냉매로서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센추리의 터보냉동기는 압축기 최적설계로 CFD 유동 해석을 통한 이상적인 유로 구조 설계, 이상적인 3차원 형상을 가진 고효율 임펠러 적용, 최적 회전수 적용으로 인한 저소음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다. 고효율 냉매사이클이 적용된 터보냉동기는 Economizer를 적용한 고효율 2단 압축방식으로 8~10% 에너지를 절감하고 고저압의
신제품 개발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승일일렉트로닉스는 이번 ISH에 부스를 마련했다. 해외 판촉을 이끌고 있는 유승엽 승일일렉트로닉스 본부장을 만나봤다. ■ ISH 출품 배경은 우리 회사는 10여년 전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목표로 준비했으며 현재 동남아, 중동 GCC국가, 터키, 러시아 등에 고정 거래선을 두고 수출하고 있다. 전 세계를 강타했던 코로나19 이슈로 4년간 해외전시회 참가를 보류하고 있다가 올해부터 다시 문을 두드리고 있는 상황이다.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전극봉식 가습기와는 별도로 컴프레서 인버터에 대한 문의가 최근 급증하고 있어 좋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 경쟁사 동향은 어떻게 봤나인버터 컴프레서 생산기업이 많아진 것이 눈에 띄였다. 중국기업은 많이 줄어든 반면 유럽기업이 많이 출품했다. 코로나19 봉쇄 영향 때문일 수도 있겠다 생각되며 가정용 히트펌프가 유럽에 많이 보급되면서 인버터 수요가 많아진 것도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최근 친환경 냉매가 이슈화되면서 R290, R32 등 자연냉매를 적용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됐다. BLDC 컴프레서도 자연냉매를 적용한 제품들이 나오지만 시점 차이 때문인지 컴프레서 제조사들이 자연냉매 컴프
냉동·냉장업계 1위 캐리어냉장은 냉동·냉장산업에서 냉매를 사용하는 콘덴싱유니트, 중대형냉동기, 플러그인 쇼케이스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특히 인버터 바이오 냉장고와 코로나 백신을 보관할 수 있는 초저온 냉장고를 개발하며 풀 콜드체인 라인업을 확대했다. 콘덴싱유니트는 올해부터 기존에 사용해 왔던 R404A, R410A 제품을 GWP가 1,500 이하인 R448A(GWP 1,273) 냉매로 전환할 계획이다. 캐리어냉장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인버터 냉동기도 국가 탄소중립정책에 부응하고자 소형 모델부터 Low GWP 냉매(R448A)를 적용해 친환경 라인업을 구축하고 15마력 이상 중대형 모델도 기존 지능형 외에 독립형 라인업을 추가해 업계 리딩기업으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캐리어냉장의 관계자는 “유럽과 같이 바로 자연냉매인 CO₂용 콘덴싱유니트를 적용하고 싶지만 국내는 고압가스 제품에 대한 여러 규제가 있어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제품가격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해 선진국들과 같이 관련 규제들을 완화하고 지원정책이 수반되지 않는 한 일단 Low GWP 냉매들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대형 냉동냉장창고에 사용하는 중대형 냉동기에는 현재 R5
2005년 설립된 에버테크코퍼레이션은 건축설비분야 스테인리스 무용접 원터치 삽입식 조인트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위생용 원터치 삽입식 후크조인트를 기반으로 냉매용 원터치 삽입식 후크조인트 개발에 성공, 미국 UL인증 획득 후 포스코, 대천과 함께 NET·LH 신기술 등 인증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무용접 조인트시장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는 우지현 에버테크 대표를 만났다. ■ ISH 출품 배경은에버테크에서 개발한 냉매용 원터치 삽입식 후크조인트는 포스코, 대천과 함께 기존 동배관을 사용하는 에어컨시장에 고연질 스테인리스 배관과 무용접 원터치 삽입식 후크조인트를 접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과정이다. 보수적인 국내 에어컨 제조사들과 달리 미국, 유럽, 남미 등 에어컨 및 냉난방 관련 기업들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 처음으로 ISH2023에 출품하게 됐다. 이번 ISH 전시회에서 세계 각국의 여러 관련 회사들과 수출 판매협의를 진행했다. ■ 경쟁사 동향은냉매용 무용접시장은 이제 시작단계로 공구 압착식, 나사 조임식, 원터치 삽입식으로 크게 분류되고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보급되기 시작해 국내에도 여러 기업들이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냉매용 후크조인트는
윌로그룹은 빌딩서비스(Building Service), 수처리(Water Management), 산업용(Industry)분야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펌프 및 펌프시스템 제조기업이다. 윌로펌프는 윌로그룹의 한국법인으로 2000년 독일 윌로그룹과 LG그룹이 합작으로 설립해 출범했으며 2004년부터 ‘윌로(WILO)’라는 단일 브랜드로 대한민국 펌프시장을 리딩하고 있다. 이헌우 윌로펌프 영업본부장을 만나봤다. ■ ISH 참관 배경은 윌로펌프는 대한민국 빌딩서비스 리더다. 그렇기 때문에 2년에 한번씩 ISH를 방문해 기민하게 해당 산업의 글로벌 동향, 기술동향 그리고 경쟁상황 등을 파악하고 윌로그룹과 협력을 통해 한국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혁신적인 워터 솔루션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윌로그룹에서 선보이는 지속가능한 제품 및 솔루션 중 한국시장에 선보일만한 것들이 있는지 직접 확인하고 윌로 부스를 방문하는 한국고객들에게 회사 및 솔루션들을 소개하기도 한다. ■ 주목할 만한 제품은윌로펌프는 전통적으로 빌딩서비스의 강자이자 급수부터 배수까지, 그리고 생활용부터 산업용 제품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윌로펌프가 타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아파트
신우공조 환기팀 파트에서 10여년간 근무하다 신우공조 대리점으로 독립한 지성컴퍼니는 FCU와 ERV 제품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주로 아파트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아이템을 추구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과 노하우, 최신 기술 및 모범사례를 활용해 국내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박성준 지성컴퍼니 대표를 ISH 현장에서 만나봤다. ■ ISH 참관 배경은 ISH 참관은 다양한 문화 및 나라별 시장아이템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업계의 주요 혁신 성과 및 기술발전 동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왔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의 다양한 세미나 및 디스플레이, 참석한 국내외 기업들의 최신제품 및 기술 발표를 주의 깊게 살펴봤다. 본업에 대한 아이템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아이템에 관심을 갖게 된다면 새로운 아이템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다고 생각해 참관하게 됐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해외 전시회를 통해 견문을 넓히면 획기적인 발상과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경쟁사 동향은 어떻게 봤나현재 건설주택시장이 축소되고 있지만 우리는 각자의 특장점과 경쟁력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거대기업들이 수많은 광고‧마케팅한 결과 수많은 국민들이 ‘공기청정’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내공기 오염원은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해로울 수 있는 VOCS(휘발성 유해물질) ‧CO2‧바이러스 등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은 공기청정기로는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공기청정기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국민 건강을 크게 해치게 되므로 지금이라도 환기업계에 종사하는 인사들뿐만 아니라 학자나 엔지니어, 언론기관, 보건복지부‧환경부 등이 나서서 바로 잡아야 할 중요한 문제입니다” 환기산업은 국민 건강과 밀접한 산업으로 국민소득 증가와 더불어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어 하는 인간 본성으로 인해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거주하므로 건강하고 오래 살기 위해서는 양질의 음식, 쾌적한 거주환경뿐만 아니라 환기산업계가 수행하는 미세먼지와 VOCs 등으로 인한 실내공기 오염 방지도 중요하다. 한국환기산업협회는 지난 2020년 4월20일 국내 업계에서 환기산업을 설비산업의 한 분야로만 여기고 에너지절약 위주의 기기 개발에 치중했으나 시대적 상황에 맞춰 예방의학과 환경관련산업으로 인식을
지열원 히트펌프시스템 관련 강소기업 유천써모텍(대표 김철영)은 지중열원을 활용해 냉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는 상업용 지중열원 히트펌프를 주력제품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아직은 초기단계여서 판매량이 저조 하지만 공기열원 히트펌프와 열회수형 외기조화기 등도 신규 제품으로 개발, 판매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번 ISH 2023에 유천써모텍 기술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유병기 상무가 참관했다. ■ 참관배경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된다는 것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상식이다. 또한 코로나 와 지구온난화를 통한 실질적인 위험에 대한 경험은 더 이상 공존의 길을 늦춰서는 안된다는 것을 누구나가 절실하게 느끼고 있을 거라 생각이 된다. 코로나 피해를 가장 크게 경험했던 유럽, 그리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탄소중립을 위해 화석연료를 대폭 줄이고자 하는 유럽, 그 유럽은 과연 어떻게 코로나에 대응해 환기시스템을 개발하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히트펌프기술은 어떠한 구상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ISH 2023에 참관하게 됐다. ■ 경쟁사 동향은많은 참여기업 제품 중 관심 있게 살펴본 제품은 히트펌프 및 공조기 파트였다.출시된 히트펌프는 거의 모든 기종이 공기-물(ATW) 제
올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ISH에서 지멘스는 디지털화가 제공하는 잠재력을 활용해 건물을 더 스마트하게 만드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IoT 지원 제품 및 솔루션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Your Fast Lane to Smart Buildings(스마트 빌딩으로 가는 지름길)’라는 모토로 지멘스는 빌딩성능 향상을 위한 건물 소유주와 운영자의 비즈니스 목표에 대응해 쾌적하고 건강한 건물에 대한 입주자들의 니즈에 맞춰 건물을 스마트 생태계로 바꾸는데 주력하고 있다. 헤닝 샌드포트 지멘스 스마트 인프라(SI) 빌딩 프로덕트(BP) CEO는 “현재 기후변화와 에너지위기, 증가하는 규제 압력 등을 감안할 때 건물 이해관계자들은 이제 건물을 보다 스마트하게 운영할 수 있는 방향을 시급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라며 “지멘스는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건물을 더 나은 장소로 만들고 동시에 기후발자국을 최적화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건물 탈탄소화 기여 지멘스는 이번 박람회에서 대형빌딩부터 중소형빌딩까지 적용가능한 다양한 빌딩 솔루션을 선보였다. 지멘스의 빌딩 솔루션은 고객의 엔지니어링 노력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건
힘펠(대표 김정환)은 환기가전(환기시스템 및 환풍기) 제조 IAQ(Indoor Air Quality) 전문기업이다. ‘공기, 에너지기술을 통해 인간건강에 기여한다’는 미션 아래 실내 환경에서 쾌적한 공기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힘펠은 1989년 창업해 35년간 환기분야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최근 환기와 공기청정기능을 결합한 환기가전이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으면서 환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 국내 욕실환풍기시장에서 60% 이상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욕실 니즈를 담은 욕실복합환풍기 휴젠뜨는 장영실상을 수상하는 등 힘펠의 환기 기술력과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힘펠은 올해 매출 목표 1,300억원 달성을 위해 수출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환기업계 최초로 4회 연속 세계 최대 냉난방공조 전시회인 ISH에 참가했다. ISH 출품을 총괄한 임인택 힘펠 유통영업본부장을 만나 ISH 출품 배경 및 향후 사업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 ISH 출품 배경은힘펠은 35년 환기기술력으로 국내 환기가전분야 1위 기업이다. 15년 이상 수출업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금도 수출증대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이번 ISH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