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3월24일 제1차 분산에너지 산·학·연 전문가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올해말까지 수립 예정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종합대책’ 관련 기관 및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주요 정책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 주재로 진행된 이날 포럼 회의에서는 그간의 분산에너지 정책의 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정책 수립 방향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2021년 6월) 따라 △전력계통의 관리·수용 능력 강화 △에너지 생산·소비 분산화 △분산에너지 친화적 시장·제도 측면에서 이행방안을 마련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ESS 구축, 데이터센터 등 전력수요의 지역 분산, 입찰제도 도입을 통한 분산에너지시장 참여 등을 적극 추진해 왔다.
추진전략에 따라 계통안정화 ESS 구축(남원 등 6개소, 970MW),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전기공급 거부 권한부여,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도입 및 통합발전소제도 근거 마련 등이 추진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역별 분산에너지 수급 균형, 계통 안정성 제고 및 분산형 전원 확산 등의 주요 전략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를 위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운영, 전력계통 영향평가 및 배전망 관리 역량강화,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 도입 등을위한 세부 방안에 대하여 심층 논의했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지역별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보완,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계통불안정성 해소를위해서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체계적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산업위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한국형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 본회 통과를 총력 지원하고 시행령·시행규칙을 차질없이 마련할 계획”이라며 “이와 연계한 분산에너지 종합대책을 연말까지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