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이용 기술 중 지열냉난방시스템은 연중 안정적인 열원공급으로 타열원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에너지이용효율을 갖고 있다. 특히 대수층의 지하수를 이용하는 개방형시스템은 지하수가 암반과 직접적으로 열교환하는 구조로 밀폐형시스템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지중열교환기의 설치 개수가 10분의 1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한정된 부지 내에서 대형 냉난방수요가 요구될 때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땅속에 설치되는 지중열교환기에 대한 점검 및 재생정비 등 유지관리도 가능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방형 지열냉난방시스템을 한층 더 안정화 시키겠다는 일념으로 혁신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는 지지케이(대표 안근묵, www.ggk.co.kr)는 2015년 해당 분야에서 첫 번째이자 유일한 건설신기술 지정에 이어 2016년 10월부터 국토교통기술촉진 연구사업(과제명: 복수의 지열정 페어링 및 지하수 연동 제어기술을 활용한 지중열교환기 효율 증대기술)을 수행하면서 또 다른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사업은 지지케이 주관 하에 한국지하수·지열협회와 지오엔지니어링이 공동연구기관으로,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유천써모텍(대표 김철영)이 ‘냉매 과냉각 및 과열증기 냉각을 위한 지중열원 포함한 복합열원 열펌프 성능개선 시스템’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기술은 지중열원을 주열원으로 이용해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열원을 공급하는 지중열원 히트펌프에 냉매의 과열 및 과냉각 기술을 특화, 적용해 냉방 및 고온급탕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중열원 히트펌프시스템이다. 천공수량 10% 감소기존 지중열원 히트펌프는 응축열을 전부 지중에 방열해 지중온도는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최대 지중 허용온도 30℃까지 상승함에 따라 냉방성능 저하를 초래했다. 또한 히트펌프를 이용한 고온 급탕 가열 시 응축압력 상승에 따른 압축비 증가 및 냉매과열로 압축기 과열, 급탕 성능저하가, 냉방열원 회수 급탕가열 시에는 냉방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지중열원 히트펌프 냉방성능 개선의 핵심은 지중온도를 저온(15~20℃)으로 유지하는 데 있다.디슈퍼히터에 냉각탑을 연결, 압축기 토출가스 과열을 1차 냉각하고 지중으로 방열되는 냉방 응축열량을 감소시켜 지중온도를 저온(15~20℃)으로 유지한다. 지중열원 열교환기에서는 저온으로 냉각된 지중열원으로 디슈퍼히터에서 냉각탑 등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관심사다. 특히 냉동공조분야에서의 에너지효율화는 운영비용과 직결돼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더욱 민감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부분부하에서 압축기운전을 최적화해 에너지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정밀운전으로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제어시스템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승일일렉트로닉스(대표 유춘희)는 1987년 설립, 냉동공조산업에 사용되는 컨트롤러, 전극봉식 가습기, 모니터링시스템, 온습도·압력트랜스미터 등을 개발, 보급하는 전문기업으로 시장에서 외산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토종기업으로 서의 자존심을 지켜내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을 필두로 한 글로벌시장에서의 에너지효율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체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성능 향상에 매진하고 있다. EU는 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ErP규정을 도입했다. 이 규정은 최소한의 효율기준을 정하고 있어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소모가 적은 BLDC인버터 히트펌프 압축기를 사용해야만 한다. 승일일렉트로닉스는 이미 4~5년 전부터 EU규정에 만족시킬 수 있는 BLDC인버터 압축기 드라이버와 전자식 팽창밸브, 디지털 압력스위치 등
국내 기계설비업계는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기계설비법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있다. 기계설비업계의 씽크탱크 역할을 하며 산업을 이끌어가고 있는 대한설비공학회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다. 또한 설비공학회는 2021년 학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며 그동안 걸어온 길을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의지를 다잡아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0월17일 설비공학회는 대의원회를 개최해 김민수 서울대 교수를 차기회장으로 선출했다. 이로써 김민수 교수는 2020년 차기회장을, 2021년 회장을 맡게 된다. 김민수 차기회장에게서 학회를 이끌어나갈 포부와 방향을 들어봤다. ■ 회장 출마 배경은대학원에 다닐 때 학회회원으로 가입한 이후 지금까지 활동해왔고 앞으로도 계속 활동을 이어갈 생각이다. 학교생활을 제외하면 학회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학회에 오면 좋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유익하고 즐거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한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우리 사회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즐겁다. 차기회장에 출마한 것은 지금까지 내려온 학회의 전통을
국토부 건설정책국은 건설경기 관리대책과 건설산업 관련제도를 수립 및 시행하고 해외건설 활성화 대책 및 건설외교를 총괄하고 있다. 또한 건설기술 기업을 육성·관리하고 각종 시설물의 안전대책을 수립·시행한다. 최근 국내·외 건설경기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국민들의 안전요구 수준에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에 전략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지난해 6월 업역규제 폐지를 핵심으로 하는 ‘건설산업 혁신방안’을 수립했다. 이를 통해 질 좋은 건설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임금직불제, 적정임금제, 전자카드제 확대 등의 일자리 개선대책도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기계설비법 소관부서로서 기계설비인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건설정책국을 이끌고 있는 이성해 국장을 만나 기계설비법 제정 추진현황을 들어봤다. ■ 기계설비법의 주요내용은기계설비법의 주요내용은 기계설비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실태조사 실시 및 기계설비 발전 기본계획 수립 등이다. 또한 기계설비산업에 대한 지원과 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등에 관해서도 규정됐다. 기계설비의 안전과 성능확보를 위해 기계설비 기술기준을 고시하고 이에 따라 앞으
바른먹거리 & 로하스 캠페인을 진행 중인 풀무원이 국내 최초로 플랜트 냉장시스템에 친환경 냉매인 하니웰의 Solstice® N40(R448a)을 적용해 친환경 기업으로서 모범이 되고 있다. 충북 음성에 위치한 풀무원 생명공장에 설치된 신규 시스템은 생산공정에 필요한 저온의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시스템으로 비처(BITZER)의 반밀폐 왕복동시스템이 Solstice® N40 냉매와 함께 적용됐다. 저온저장고 및 산업용 냉동기설계 및 시공을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위드(권오영 대표)에 의해 신규 설치됐다. ‘ECOSTAR·Solstice®’ 효율·환경 잡아풀무원 생명공장에 적용된 왕복동시스템은 압축기전문 제조사인 비처의 기술적 노하우가 집약된 CM-RC-01 지능형 모듈과 VARISTEP 용량제어 옵션을 적용해 R448a와 같은 신규 냉매와 호환이 가능하고 압축기 보호 및 제어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부하변동에 맞춰 33~100%로 무단계 용량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전반적인 시스템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최근 4주가량의 압축기 운전데이터가 저장돼 향후 시스템에 문제발생 시 원인을 매우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자의 업무환
Watts는 주거, 산업, 도시 및 상업 환경을 위한 고품질 물(water)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기업이다. 유량제어를 위한 세계적 수준의 물 관련 솔루션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Ken Nolan Watts그룹 글로벌 기술 책임자는 대한설비공학회 역류방지기전문위원회에 참석했다. 지난 33년간 Watts에서 근무하면서 엔지니어링분야 경력을 쌓았으며 Operations Manager 및 제품관리 책임을 역임한 Ken Nolan은 현재 종합적인 물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제 비영리단체인 AWWA(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전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Ken Nolan은 한국에서 역류방지기 성능기준 제정 등 효과적인 역류방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언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것이다. Ken Nolan을 만나봤다. ■ AWWA는 어떤 단체인가AWWA는 효과적인 물 관리를 보장하는 종합적인 물(Water)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제 비영리단체다. 1881년에 설립된 세계 최대 물 관리 전문가 조직이다. 현재 총 5만1,000여명 이상의 회원들로 구성돼 있으며 Watts 또한 AWWA의
알키미스트(Alchemist)는 ‘연금술사’란 뜻이다. 그리스시대에 철로 금을 만들려던 연금술사의 도전적 노력이 비록 금을 만드는 것은 실패했으나 이 과정에서 황산, 질산 등을 발견해 결과적으로 현대 화학의 기초를 마련한 것에 착안한 것으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산업의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초고난도 기술개발을 통해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높은 기술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히트펌프분야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를 공고했다. 히트펌프분야 난제는 카르노 효율 한계에 근접하는 히트펌프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현재 증기압축식 히트펌프의 효율을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히트펌프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산업부는 최근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양대 등 3개 컨소시움을 히트펌프분야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기관은 1단계(2년 내) 경쟁형(토너먼트 방식)으로 선행연구를 실시한 후 가장 혁신적이고 타당한 선행연구 결과를 제시한 1개 연구팀이 2021년부터 5년간 본격적인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중 기계연구원의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인 윤석호 박사를 만나봤다. ■ 국내외 히트펌프시장에 대
범부처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교육부(장관 유은혜)가 공동 추진하는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 미세먼지 관리 기술개발사업’의 사업단구성에 대한 윤곽이 잡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신규발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 1월 사업공고 이후 4월 신동천 연세대 의과대 교수가 단장에 선정됐으며 한화택 국민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306억5,100만원 규모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기초·원천 △통합관리 △진단·개선 △법·제도 개선 등 4개 연구그룹으로 구성돼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실증과 법·제도 개선까지 통합한 패키지 형태로 사업을 추진한다. 10월경 발족·연구착수 연구재단은 지난 7월 세부과제 공고 이후 각 세부과제별 총괄책임자를 선정해 지난 8월 발표했다. 신동천 사업단장은 “각 연구책임자 선정에 이어 세부과제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10월 경 발족식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1세부 ‘외부환경 및 활동도 기반 학교건물 내 미세먼지 발생특성 규명’은 △조영민 경희대 교수를 총괄로 △구준모 경희대 교수 △송두삼 성균관대 교수 △김재진 부경대 교수
단열재업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며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혁신방안을 모색하는 세미나가 열릴 예정이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으로 재난·재해가 속출하고 있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지목되며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따라 주요 온실가스 배출물질인 냉매규제가 요구되고 있지만 건축단열재 시장은 여전히 사각지대다. 건축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XPS, PU 등 생산과정에서 발포제에 의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있지만 관리되지 않는 실정이다. 2030 국가 온실가스 로드맵이 지난해 개정되면서 건축물의 감축목표가 BAU대비 18.1%에서 32.7% 강화되는 등 건축물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자재 생산과정에서 내뿜는 온실가스가 관리되지 않아 건축물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감축은 간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포단열재의 생산과정에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발포제를 사용함으로써 근본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열재 난연성 강화요구 화재에 대한 문제도 단열재업계를 도전적 상황
한화건설이 최근 주거시설의 각종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설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주거시설에는 다양한 급수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이와 같은 급수시설은 배관, 부속, 밸브 등의 부품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급수시설은 노후, 풀림, 파손, 오체결 등 다양한 사유로 인해 예고 없이 언제든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있다. 이와 같은 누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누수를 조기에 발견해 보수를 하는 것이 최선이다.그러나 급수시설은 대부분이 싱크대 등 밀폐된 공간에 위치해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다. 특히 세대 내에 사람이 부재중인 상태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집기류나 가전의 침수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누수가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 다른 세대로 침수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한화건설은 누수센서를 활용해 누수의 발생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고 누수가 감지된 위치정보를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알려 초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반영구적 사용 ‘장점’ 기존의 산업시설 및 세대용으로 다양한 누수감지 센서가 개발돼 유통·활용되고 있다. 세대 내에서는 배관 및 세탁기 등의 누수 감지를 위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녹색건축의 확산‧정착을 도모하고 민간‧공공‧학계가 모여 아이디어와 최신기술, 국내외 정책 등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 마련을 위해 오는 11월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2019 녹색건축한마당’을 개최한다. 올해 9회째를 맞는 녹색건축한마당은 한국감정원이 총괄 주관기관을 담당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대한건축사협회,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에너지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녹색건축 관련기관이 후원한다. 존 번 美 재생E재단 이사장 기조강연 이번 행사는 ‘Smart: beyond green, 녹색을 스마트건축으로!’를 주제로 개최된다. 이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촉발된 산업 및 사회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녹색건축을 통해 살펴보자는 의미다. 올해는 존 번(John Byrne) 미국 재생에너지환경재단 이사장이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존 번 이사장은 200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UN산하 기후변화협약 정부간 협의체(IPCC)의 일원이자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연구소 소장 겸 기후정책학 석좌교수로 ‘솔라시티 서울’의 자문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이외에도 △녹색건축 유공자
교육부가 지난 6월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을 통해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폐교인 백성초등학교에서 진행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성능평가 결과가 공개됐다. KTC가 작성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성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 11개사 15개 제출제품 중 평가에 동의한 9개 제품의 환기 및 공기청정 능력을 평가한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세먼지 포집률 및 필터의 등급·두께·사이즈 검사결과는 포함되지 않아 반쪽짜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CO₂·미세먼지 개선 ‘확인’ 시험은 KS B 6879:2017 열회수형 환기장치 표준 및 조달청 최소녹색기준에 따라 평가됐다. 그 결과 모든 회사의 제품이 조달청에서 제시한 최소녹색기준을 만족했다. CO₂ 및 미세먼지 제거성능시험은 교실 내부를 CO₂ 1만ppm, 미세먼지를 1,000ppm으로 오염시킨 후 제품을 60분간 가동해 제거되는 경향성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CO₂는 제품별로 1대 가동 2회 시험, 일부 제품 2개 현장 2대 가동으로 시험했다. 미세먼지는 1대 가동 1회 시험, 일부 제품 2개 현장 2대 가동해 시험했다. 평가결과 모든 제품에서 오염된 공기가 제거됐다. CO₂는 1회 시험기준으
최근 폭염, 혹한, 연이은 가뭄 등의 기후변화가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등 기후위기 대응방안은 이제 인류의 공동과제가 됐다. 친환경·고효율제품이 세계인의 관심사로 떠오르며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줄이는 난방분야 에너지저감기술 ‘콘덴싱’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국내 보일러업계는 지난 30여년간의 콘덴싱 기술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시장에 진입, 최근 3년간 가스보일러·가스온수기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가스보일러 수출금액은 △2017년 1억3,057만4,000달러 △2018년 1억3,217만달러 △2019년 8월 기준 7,774만1,000달러를, 가스온수기 수출금액은 △2017년 1억4,149만4,000달러 △2018년 1억6,689만4,000달러 △2019년 8월 1억1,258만9,000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국가로는 미국, 러시아, 중국 등으로 집계됐다. 북미, 수출규모 부동의 1위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북미지역 가스보일러 수출금액은 △2017년 4,234만5,000달러 △2018년 5,713만3,000달러 △2019년8월 기준 3,07
고봉식 대성쎌틱에너시스 대표가 지난 9월4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제26회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에서 사내안전문화 확산, 세계적 수준의 가스기기 안전인증 획득, 신속한 사고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포장을 수훈하는 영예를 안았다. 고 대표는 안전수칙 준수를 최우선 경영목표로 수립해 매월 4일을 안전점검의 날로 지정,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과 행사를 진행함로써 안전점검 실천문화가 조직에 뿌리내릴 수 있게 했다. 재해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그룹 본사 안전관리팀이 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 후 활동내역 및 개선사항을 그룹 본부에 통보하도록 하고 가스, 전기, 소방 안전관리, 환경업무 등에는 전문자격을 갖춘 담당자를 배정해 지정·관리토록 했다. 또한 고압가스 및 폭발성가스 등 가스시설물과 자동차단장치에 대해서는 안전관리자가 일일교차점검하는 제도를 시행해 안전생활화에 힘썼다. 본사는 물론 협력업체의 안전관리에도 노력을 기울인 고 대표는 안전관리책임자 및 협력업체대표자로 구성된 안전관리협의체를 만들고 정기 안전회의를 실시해 안전수칙지도, 작업환경 개선, 유해물질 사용 관리감독이 철저히 이뤄지도록 했다. 국내기술력으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전문기업 미코(회장 전선규)가 국내 최초로 SOFC의 모든 공정을 자체생산하는 원스톱라인을 구축해 국내 에너지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미코는 지난 9월23일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신규공장에서 김학용 국회의원, 최문환 안성시 권한대행, 김정일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정책단 국장을 비롯한 수소·연료전지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제조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총 110억원을 투입, 3,893㎡(1,293평) 부지에 4개월에 걸쳐 완공된 이번 SOFC 전주기 생산공장의 생산규모는 연간 1MW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단전지(Cell), 스택(Stack), 시스템(System)에 이르는 SOFC 생산기술을 모두 한 곳에서 자체기술력으로 만들 수 있게 된 미코는 스택 90%, 시스템 75% 이상의 국산화율을 달성하며 국내 분산발전원 시장선도를 예고했다. 전선규 미코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국내최초로 SOFC발전기 양산제조공장을 설립하게 돼 기쁘다”라며 “지난 2012년 사업투자자들은 SOFC에 대해 미래가 없는 분야라며 투자하지 않을 것이란 압박을 해왔지만 반도체리페어기업이 가진 스택 기술력을 바탕으로
김민수 국제냉동기구(IIR) 한국위원회 회장(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이 국제냉동기구 총회 의장(President of General Conference)으로 선출됐다. IIR 110년 역사 중 아시아국가에서 의장이 선출된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김민수 교수를 만나봤다.■ 국제냉동기구는 어떤 단체인가국제냉동기구(IIR: International Institute of Refrigeration)는 1908년 프랑스에서 개최된 국제냉동학술대회(ICR: International Congress of Refrigeration)에서 국제냉동협회(IA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Refrigeration)를 창설한 것이 전신이며 1920년 IAR이 국가간 기구인 국제냉동기구(IIR)로 전환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제냉동기구의 설립목적은 냉동분야의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저비용, 친환경 방법을 통해 인류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식품의 품질 및 안전, 가정 및 직장 실내 환경의 쾌적성, 극저온설비 및 액화, 에너지이용 효율, 친환경 냉매 등의 분야에 중점을 두고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활
공장, 체육관, 전시장 등 대공간에 특화된 냉난방시스템이 사용자들의 호평을 얻어내고 있다. 2004년 공기열 멀티 항온항습기 특허를 획득하며 비용효율적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 유로이엔지(대표 이호진)이 최근 선보인 대공간 냉난방기 에어액트가 지난 여름철 폭염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쾌적성 향상, 생산성 증대 기여유로이엔지의 대공간 냉난방기 에어액트는 최대 20m 높이의 천장에 설치해 바닥으로 강력한 바람을 쏘며 냉난방을 할 수 있는 기기로 에어액트는 분당 0.7회를 회전하는 노즐 디퓨저가 바람을 구석구석 하부까지 고르게 보내준다. 기존 고정형 제품은 일정한 방향으로만 바람을 보냈지만 에어액트는 천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바람을 불어주기 때문에 쾌적감이 더욱 높다. 특히 산업체의 공장은 층고가 높고 공간이 넓어 전체 면적을 냉난방하기 위해서는 설비에 높은 부하가 걸리기 마련이다. 공장의 특성 상 출입문이 크고 자주 열리는 장소는 냉난방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사용자의 쾌적성 저하는 물론 에너지낭비도 매우 심하다. 하지만 에어액트는 천장에 설치돼 사용자에게 직접 바람을 보내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체 냉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는 것
에이올(대표 백재현)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장기임대아파트 다기능 복합환기시스템 개발과제’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와 조달청이 공공기관의 수요를 미리 파악한 뒤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우수조달물품에 등록시킴으로써 공공기관이 수의계약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2019 혁신조달 연계형 신기술사업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장기임대아파트 다기능 복합환기시스템 개발과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수요기관으로 참여했다. 이번에 개발되는 제품을 통해 장기임대 공공주택에 2만대(약 200억원)를 적용할 방침이다. 과제사업은 지난 4월 공고 이후 6월 1차 평가를 거쳐 에이올등 2곳이선정됐다. 해당 기업들은 과제 제안요청서를 만족하는 기본설계를 2~3개월간 실시하고 실증평가를 거치는 ‘경쟁적 대화’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에이올이 연구비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에이올은 심사에서 △수요기관과의 공동작업을 통해 검증을 받은 점 △수요기관의 요구사항 세부내용에 부합하는 점 △개발시제품이 공인인증기관의 시험성적서를 취득한 점 △RFP의 요구치를 대체로 달성한 점 △자체 제작공정 확보, 안정적 생산능력,
댄포스가 덴마크의 세계적인 판형열교환기 전문기업 Sondex(쏜덱스)를 인수하며 통합 에너지솔루션 메이커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1933년 Mad Clausen에 의해 덴마크 Nordburg에 설립된 냉난방공조 전문기업 댄포스는 지난 2016년 9월2일 덴마크에 본사가 있는 판형열교환기 전문기업 Sondex를 합병하며 냉난방공조시장에 토탈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판형열교환기 우수기술 보유한 Sondex Sondex는 1984년 덴마크에서 판형열교환기 금형 전문가인 아지 선드가드 닐슨에 의해 설립돼 열판금형을 직접 설계 및 제작, 열판을 생산해 왔다. 현재 전세계에 걸쳐 열판생산공장 6곳, 조립공장 15곳, 영업판매점 30여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창립 이래 36년간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판형열교환기분야 우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판형열교환기분야에서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 다양한 크기, 두께, 형상의 열판을 제작해 왔으며 현재 100여종의 플레이트를 생산하고 있어 타사와 비교해 최적화된 열교환기를 공급할 수 있다. 입·출구 연결부는 최소 25mm에서 최대 650mm까지 열판을 제작해 고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