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기계설비 종합전시회로 지난 5월22~24일 서울 세텍(SETEC)에서 개최된 ‘HVAC KOREA 2024’에는 공조, 환기, 펌프, 밸브, 댐퍼, 내진 등 업계를 중심으로 150여개 기업이 참가해 400개 부스규모로 3개홀에 걸쳐 다양한 신제품과 기술이 전시됐다. 특히 데이터센터(DC)는 별도 특별관을 구성해 설계, 쿨링시스템 등이 소개됐으며 최근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는 액침냉각 솔루션도 소개돼 관심이 집중됐다. 다양한 DC 쿨링옵션 제공HVAC KOREA 2홀은 DC특별관으로 꾸며졌다.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파른 시장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양한 기업이 출품했으며 참관객의 관심도 뜨거웠다. 이번 DC특별관에 참여한 기업들은 공냉식‧수냉식설비, 액침냉각, EC팬모터 등 쿨링솔루션을 소개해 DC설계 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안했다. 특히 최근 DC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팬월유닛(FWU: Fan Wall Unit)이 다수 전시됐으며 액침냉각 제품도 실물전시돼 다가오는 트렌드를 감지할 수 있었다. 귀뚜라미범양냉방은 인로쿨링(In-row cooling)을 비롯해 RDHx(Rear Door Heat Exchan
HVAC KOREA 2024에는 데이터센터(DC) 시장‧정책‧구축사례 등 대외적 환경을 비롯해 설계‧제품‧솔루션 등 기술적 내용에 대한 최신정보를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설비기술협회 DC기술위원회는 5월22~24일 HVAC KOREA 2024 부대행사로 ‘2024 DC 기술컨퍼런스’를 3일간 4개 섹션, 21개 발표로 구성해 개최했다. 컨퍼런스에는 300여명이 등록하며 최근 DC산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창근 설비기술협회 DC기술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됨에 따라 활성화된 DC산업은 설계, 제조, 시공, 운영 등 HVAC분야 전반에 매우 큰 사업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라며 “전반적인 경기침체 상황 속에서 DC시장 외에는 사업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해외브랜드가 주로 활용되고 있어 국제기준에 부합한 국산제품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이 폭넓게 공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한 DC기술위원회는 100명이 넘는 회원으로 성장했으며 지금까지 5차례 컨퍼런스를 개최해 그때마다 300명 이상 참석자들을 동원함으로써 DC기술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라며 “이미 사회적으로 디지털전환(
대한설비설계협회와 한국설비기술협회 통합이 의결된 가운데 향후 통합협회의 역할에 기대가 모이고 있다. 기계설비업계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4차 산업혁명, 감염병 위기 등 새로운 의제에 기계설비가 핵심임을 인지하고 새로운 시대에 기회를 포착, 이를 소화해 업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계설비업계가 힘을 모아 더 큰 역량을 갖고 정책적‧기술적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법정단체의 등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더 많은 유관단체 통합으로 기계설비기술관리법 제정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책임설계‧시공‧감리 실현으로 업계를 선진화하고 기계설비업계 업역구분을 넘어선 첨단융복합산업으로의 도약 필요성도 제기됐다. HVAC KOREA 2024 부대행사로 5월22일 설비설계협회, 설비기술협회가 주관해 개최된 ‘설비단체 통합포럼’에서는 협회통합 취지와 배경, 앞으로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꾸며졌다. 박진철 건축학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설비설계협회는 1967년 창립했으며 설비설계협회는 1973년 기계설비부문위원회로 창립한 후 2016년 명칭을 변경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라며 “그간 두 단체가 나름의 방식으로 운영해오면서 기계설비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견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
한국설비기술협회(회장 박종찬)는 지난 5월22일 서울 세텍(SETEC)에서 개최된 HVAC KOREA 2024 전시회와 연계해 데이터센터(DC)기술위원회가 주최한 네트워킹행사 ‘DC데이’를 개최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이후 AI, 클라우드, 5G, IoT 등이 급속히 발전하며 관련된 비즈니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DC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앞으로도 상당기간 DC산업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DC 핵심요소 중 하나인 쿨링시스템 중요성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쿨링시스템이 미흡하면 DC본연의 기능인 IT서비스 역시 불가능해지므로 쿨링시스템 설계‧제조‧시공‧운영‧유지관리는 DC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의 근간이 된다. 이에 따라 DC프로젝트 디자인 중추를 MEP가 맡아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지만 국내 HVAC업계가 시대변화에 빠르게 부응해야 하며 엔지니어링 및 기술역량을 한층 더 고도화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번 DC데이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공유됐으며 그간 DC기술위원회 활동상과 향후 계획에 대해 회원에게 보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또한 위원회 활동에 기여한 공로자들에게 표창장을 수여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3년간 DC MEP 기술발전 촉진 총
한국알파라발은 5월22~24일 3일간 서울 세텍(SETEC)에서 개최돼 올해 9회를 맞은 국내 유일의 기계설비 종합전시회 ‘2024 대한민국 기계설비 전시회(HVAC Korea)’에 참가해 데이터센터(DC) 존에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효율적인 DC냉각을 위해 필수적인 AHRI인증 판형열교환기와 함께 열회수, 연료비 절감, 탄소배출 감소, 유지보수 비용절감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에너지헌터’를 소개한다. 알파라발은 에너지, 해양, 식품 및 물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100여개국에서 공정최적화를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및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2만300명의 직원이 알파라발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연매출은 약 49억유로로 나스닥 스톡홀름에 상장돼 있다. 한국알파라발은 1979년 설립된 알파라발 그룹의 한국지사다. 약 150명의 인원(세일즈 엔지니어 약 30명, 고객지원 30명)이 근무하고 있다. 평택 소재 국내 생산설비 및 서비스센터를 기반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DC는 점점 더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쿨링시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 HVAC KOREA 2024가 지난 5월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세텍(SETEC)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HVAC KOREA는 해마다 개최돼 기업들의 출품제품은 물론 다양한 학술행사를 통해 한 해 동안의 기계설비업계 발전상과 기술‧제품관련 최신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업계 종합전시회로 자리잡고 있다. 제9회 HVAC KOREA는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회장 조인호)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최준영) △한국설비기술협회(회장 박종찬) △대한설비설계협회(회장 이수연) △한국기계설비기술사회(회장 이충근) 등이 주최했으며 △설비기술협회 △메쎄이상 △KOTRA 등이 주관하고 칸kharn 등이 미디어파트너로 참여해 개최됐다. 기계설비업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전시산업진흥회(AKEI) 국제인증전시회, 국제전시협회(UFI)인증을 획득한 HVAC KOREA는 올해 150개사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으며 특히 전 세계 20여개국 70여개사 바이어들이 방문해 글로벌 전시회로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월22일 개최된 개회식에서 강성희 대한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최근 건설경기 장기침체, 인플레이션, 고금리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아시아 재생에너지 성장포럼' 행사 주최로 방한한 헬렌 클락슨(Helen Clarkson) RE100 캠페인(The Climate Group) 대표와 5월20일 면담을 갖고 한국 재생에너지 정책방향과 RE100 캠페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안덕근 장관은 전 세계적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더 클라이밋 그룹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한국 정부와 기업의 재생에너지 보급 및 활용 노력을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무탄소에너지(CFE)의 균형있는 활용이라는 기조로 일부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전 확대를 밀어붙이고 있다. 5월16일 발표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은 이러한 정부의 정책의지가 반영됐다. 특히 안덕근 장관은 RE100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도 CFE를 강조하고 나섰다. 안덕근 장관은 기후위기‧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우리 정부의 무탄소에너지 전환 노력과 필요성을 설명했다. 양측은 향후 CFE와 RE100 캠페인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항이 있다면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한국은 반도체·철강·자동차 등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제조업 중심국가로서 재생에너지 활용 여건도 주요국 대비 매우 불리하지만 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5월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양병내 통상차관보 주재로 범부처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작업반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 기재부, 외교부, 환경부, 중기부, 탄녹위, 관세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유럽연합, 영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한 우리 입장 개진 및 국내기업 지원을 위한 협업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유럽연합, 영국 등 주요국은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유럽연합은 탄소국경조정제도(2026년 본격시행) 하위법령을 추가 채택하기 위해 초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영국은 탄소국경조정제도(2027년 시행) 설계안을 지난 3월21일 공개하고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정부는 업계의 대응요청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향후 EU와 영국의 하위법령에 우리 입장을 지속 제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내적으로도 우리 기업이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간 협업을 통해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상기업 안내를 강화해나간다. 대상기업에 제도 안내와 더불어 정부의 관련 기업 지원사업을 소개하며 대상기업의 대응 현황도 주기적으로 점검키로 했다. 양병내 통상차관보는 “우리 기업의 건의사항을 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원전·재생·수소 등 무탄소에너지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지원, 전력시장 제도 선진화, 탄소포집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산업 육성 등을 중점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는 안덕근 장관 주재로 5월22일 제31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해 안건으로 △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지원 방안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향 △CCS 산업육성 전략 등 안건에 대해 관계부처 및 에너지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했다. 안덕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우리나라 에너지시스템을 무탄소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원전·재생에너지·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의 공급역량 확대를 중점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며 화력발전 시대에 만들어진 전력시장 제도를 재생에너지 확대 등 미래의 발전믹스에 맞게 선진화하며 중요한 탄소중립 수단인 CCS기술을 조기상용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4년간 우리 기업들은 총 143억달러 규모(41건, 20.4GW)의 해외 재생에너지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더해 지난해 제28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8)에서 123개국이 2030년까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5월24일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세계 최초로 개설한다고 밝혔다. 무탄소전원인 청정수소의 발전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한편 청정수소간 비용 경쟁을 통해 경제성 있는 가격으로 청정수소를 조달할 예정이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수소 또는 암모니아 등 수소화합물을 연료로 생산된 전기를 구매 및 공급하는 제도다. 수소법 제25조의 6 및 시행령 제34조의 2~6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사용연료에 따라 일반수소와 청종수소 발전시장으로 구분된다.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청정수소를 발전 연료로 사용해 생산된 전기를 구매, 공급하는 제도다. 이 시장에는 국내 청정수소 인증기준(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CO₂e 이하)을 충족한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기만 참여 가능하다. 올해 입찰물량은 6,500GWh, 계약기간은 15년이다. 실제 발전은 사업준비기간 3년(첫 시장임을 고려해 1년 유예 부여)을 거쳐 2028년까지 개시해야 한다. 청정수소발전의 입찰공고 기간은 발전사가 연료도입 계약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해 24주로 정했다. 최종낙찰자는 입찰제안서 마감 후 발전단가인 가격지표와 청정수소 활용 등급(4개 등급), 연료도입 안정성, 산업·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5월24일 오후 국토발전전시관에서 압둘라 빈 샤라프 알 가므디(Abdullah bin Sharaf Alghamdi)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청 장관과 만나 한-사우디 간 스마트도시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면담은 5월22일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 각료세션 참석 차 방한한 압둘라 빈 샤라프 알 가므디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청 장관의 요청에 따라 마련됐다. 사우디는 정부효율성 증대 및 도시문제 해결 등을 위해 주요 정부서비스에 대한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도시분야와 관련해 스마트도시 개발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온 한국정부 및 기관, 기업들과 스마트도시플랫폼 거버넌스 구축사례 등 분야에서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한-사우디는 1962년 수교 이래 60여년간 건설 및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 협력해 온 핵심파트너 국가다. 특히 2022년 11월 모하메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 방한과 202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 국빈방문을 계기로 양국 간 협력이 전통인프라를 넘어 스마트도시 등 신산업 분야로 확대 중이다. 국토부는 향후 양국기업, 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스마트도시 디지털트윈 분야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의미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한국대표 김경록)가 유니버셜 오토메이션 협회(UAO: Universal Automation.Org)와 함께 범용자동화 인사이트 공유를 위한 미디어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그렉 부샤드(Greg Boucaud) UAO 최고마케팅책임자가 범용자동화 확산을 위한 협회의 역할과 의의를 소개했으며 김건 슈나이더 산업자동화사업부 매니저, 권종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센터장과 이명섭 이삭엔지니어링 부사장이 참여해 UAO 가입의의 및 관련경험을 공유했다.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됨에 따라 4차 산업혁명과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의 도입이 빨라졌지만 산업현장은 아직 업그레이드 및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폐쇄형 자동화플랫폼을 사용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업용 IoT의 가능성을 완전히 실현하려면 개방형플랫폼을 사용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하고 시스템 민첩성과 확장성을 근본적으로 개선한 기술모델로 재구성해야 한다. UAO는 이러한 개방형 자동화의 확산을 실현하기 위해 지난 2021년 설립된 비영리독립 산업자동화 단체다.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의 분리를 정의하는 IEC61499 표준을 기반으로 공급기업의 특정브랜드와 관계
DX 전문기업 LG CNS가 지난해 5월 출시한 마케팅 최적화 플랫폼 'MOP(Marketing Optimization Platform)'가 1년 만에 800여개 기업고객을 확보하며 광고업계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고객들이 MOP를 통해 취급하는 광고금액도 1년 만에 1,000억원을 돌파했다. MOP는 기업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 광고 집행 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포털검색광고, 쇼핑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등의 운영퍼포먼스를 최적화하는 플랫폼이다. MOP 도입을 원하는 기업고객은 복잡한 설치과정 없이 광고매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MOP에 연동하는 것만으로 비즈니스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 MOP가 업계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기업고객이 기존과 동일한 광고비를 유지하면서도 소비자의 구매전환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매전환율은 소비자가 온라인 광고를 클릭해 실제 구매로 이어진 비율을 뜻한다. 기업고객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검색광고는 광고게재 위치, 노출시간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광고비용을 실시간으로 입찰하며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낙찰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하지만 기업의 광고 담당자가 회사에서 진행하는 수많은 검색광고를 일일이 분석
이커머스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물류부동산이 유망한 대체 부동산 자산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쿠팡의 로켓배송, 네이버의 도착보장, 이마트의 쓱배송 등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며 신속하고 편리한 배송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물류컨설팅팀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물류센터 수요가 폭발하며 공급이 급증했으나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감소와 급격한 물류센터 공급과잉으로 물류부동산 개발 투자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전 세계 60개국 400여 개 지사에 약 5만2,000명의 전문가들을 둔 부동산 소유주들과 임차인들을 위한 선도적인 글로벌 상업용부동산 서비스 회사다. 2023년에 부동산, 시설 및 프로젝트 관리, 임대, 매입매각자문, 밸류에이션 등 핵심서비스 부문에서 95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유통물류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이커머스 수요 폭발에 대응하기 위해 최적의 물류입지, 규모, 구조 등에 대해 별다른 기준 없이 추가인프라 확보에만 치중해왔다. 개발투자사도 국내 물류산업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미래 시장가치에 대해 명확한 분석 없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유통물류시장이 급격한 성장
한국태양에너지학회(회장 박창대) 태양광자원순환전문위원회(이하 전문위)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이 공동주최한 ‘제2회 태양광 순환경제 워크숍’이 5월21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렸다.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중심 재생에너지 설비보급이 확산되면서 태양광 폐패널 발생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방안의 하나로 지난해 1월부터 태양광 폐패널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대상에 포함했다. 이에 따라 폐패널 재활용은 제도적으로 필수적인 밸류체인이 됐다. 이날 행사에는 태양광 및 자원순환분야 관계자 약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태양광 폐패널 전주기 관리기술 동향 및 이슈’라는 주제로 다양한 내용이 발표됐다. 워크숍은 태양광 폐패널 자원순환과 관련한 정책·제도 및 인프라에 대한 제1부 세션과 각 부처에서 수행 중인 폐패널 전주기 관리기술 개발현황에 대한 제2부 세션으로 구분돼 진행됐다. 제1부 세션에서는 이진석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진행으로 김도형 한국환경공단 부장이 ‘태양광 폐패널 자원순환정책 추진현황’을, 이원영 E-순환거버넌스 본부장이 ‘태양광 폐패널 회수·재활용시스템 및 발전방안’을, 임성린 강
한국공조엔지니어링(대표 김현효)은 9월25일부터 9월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해 데이터센터(DC)솔루션, 공기조화기, KC-EC FAN을 선보인다. 한국공조엔지니어링이 선보이는 데이터센터솔루션은 프리시전 액침냉각(Precision Liquid Cooling)이다. 서버를 공기보다 열전도, 밀도, 비열이 높은 절연유를 사용해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3U 크기의 섀시를 제작해 기존 공랭식용 서버에서 팬을 제거하고 주요 구성품을 넣어 설치한 분배시스템을 통해 효과적으로 서버를 냉각하는 제품이다. 섀시당 3.5kW 열을 제거할 수 있어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밀도 칩을 사용하는 서버를 냉각하기 용이하다. 수직으로 서버를 들어올려야 하는 탱크타입의 경우 유지보수 시 리프트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만 기존 공랭식 서버랙과 유사하게 수평으로 섀시를 꺼내 점검 및 교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절연유를 약 1/10로 줄일 수 있다. 섀시 내부 온도가 최대 53℃로 유지되므로 60% 이상 열회수가 가능하다. FWU(Fan Wal